총 1,547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러시아 재이주(再移住) 한인의 난민적 상황과 인권보호
-
심헌용;
김재기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전남대학교;
(민주주의와 인권,
v.4,
2004,
pp.117-150)
-
72
-
코로나 19(COVID-19) 팬데믹 시 군의 대응 활동과 역할 확대 방안
-
최정준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한국과 국제사회,
v.5,
2021,
pp.89-124)
-
73
-
흥남철수작전과 월남민 현봉학의 역할
-
김선호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학림,
v.52,
2023,
pp.223-260)
-
74
-
베트남 파병 한국군의 주둔군 지위와 민간인 피해보상
-
이신재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국방정책연구,
v.34,
2018,
pp.41-69)
-
75
-
북한의 경계·국경 인식과 북·중 접경지역 경비(1945~1947) - 국경경비대를 중심으로
-
김선호;
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;
(동북아역사논총,
v.0,
2021,
pp.354-388)
-
76
-
임진전쟁 초기 선조의 전쟁인식과 播遷논쟁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21,
pp.243-273)
-
77
-
베트남 파병 한국군의 말라리아 감염과 대응
-
이신재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동아연구,
v.37,
2018,
pp.251-286)
-
78
-
임진전쟁기 조선과 명의 전쟁인식과 군수정책
-
김경록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중국사연구,
v.0,
2022,
pp.105-134)
-
79
-
6 ․ 25전쟁 이전 북한 내무성의 조직과 간부
-
김선호;
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;
(동북아연구,
v.39,
2024,
pp.5-35)
-
80
-
한반도 평화와 북한의 군비통제 분석 -1990년대와 2000년대 초 북한의 군비통제제안을 중심으로-
-
이미숙;
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;
(국방연구,
v.62,
2019,
pp.77-11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