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2건 중 962건 출력
, 8/97 페이지
-
71
-
김명순의 번역과 페미니즘: 「돌아다볼 때」와 「외로운 사람들」을 중심으로
-
윤선경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24,
pp.83-108)
-
72
-
김명순 短篇 ⟨도라다볼ᄯᅢ⟩ 小考
-
주수민;
홍익대학교;
(영주어문,
v.40,
2018,
pp.315-337)
-
73
-
김명순 시에 나타난 신여성 의식 연구
-
김윤정;
강릉원주대학교;
(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,
v.22,
2014,
pp.173-206)
-
74
-
김명순 소설 「도라다볼ᄯᅢ」 연구
-
홍혜원;
충남대학교;
(어문연구,
v.94,
2017,
pp.337-361)
-
75
-
김명순 문학의 기독교 언어 전유
-
서욱희;
서울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4,
pp.312-328)
-
76
-
김명순의 창작집 『愛人의 선물』
-
서정자;
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2,
pp.385-402)
-
77
-
김명순 시에 나타난 장소 정체성 연구
-
배옥주;
부경대학교;
(순천향 인문과학논총,
v., 37,
2018,
pp.53-73)
-
78
-
작가 김명순의 삶과 기독교 신앙
-
김경애;
동덕여자대학교;
(여성과 역사,
v.0,
2012,
pp.159-193)
-
79
-
김명순 희곡의 상징주의적 경향 연구
-
이민영;
경북대학교;
(어문학,
v.0,
2009,
pp.399-431)
-
80
-
김명순 시의 유폐 자아와 발화 맥락
-
장보미;
고려대학교;
(한국문학과 예술,
v.0,
2023,
pp.221-25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