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9건 중 109건 출력
, 8/11 페이지
-
71
-
일제하 서울의 도시위생 문제와 공간정치 —상하수도와 우물의 관계를 중심으로—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09,
pp.191-226)
-
72
-
식민지적 도시성에 대한 이론적 탐색: 공간사회학적 문제설정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06,
pp.169-212)
-
73
-
식민권력과 광장공간: 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11,
pp.271-311)
-
74
-
상징공간의 변용과 집합기억의 발명: 서울의 식민지 경험과 민족적 장소성의 재구성
-
김백영;
서울대학교;
(공간과 사회,
v.0,
2007,
pp.188-221)
-
75
-
‘서울의 역사’로 순치된 식민지 근대 도시계획사의 불편한 진실―『서울의 기원 경성의 탄생 : 1910~1945 도시계획으로 본 경성의 역사』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17,
pp.472-480)
-
76
-
신용장관련거래에서 선적서류의 제시와 검사에 관한 연구
-
김백영;
동아대학교;
(상사판례연구,
v.19,
2006,
pp.257-277)
-
77
-
소수민족 혼성 거주지에서 초국적 개발주의의 거점지로 ― 로스앤젤레스 한인타운 변천사에 대한 공간사회학적 연구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18,
pp.235-276)
-
78
-
일본의 공업 대도시에 형성된 한인 디아스포라 집주공간 — 오사카(大阪)와 가와사키(川崎)의 사례 비교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사회와역사(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),
v.0,
2017,
pp.7-40)
-
79
-
금강산의 식민지 근대―1930년대 금강산 탐승 경로와 장소성 변화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역사비평,
v.0,
2020,
pp.382-414)
-
80
-
도시사회학자의 눈으로 본 한반도 분단
-
김백영;
광운대학교;
(경제와 사회,
v.0,
2019,
pp.298-30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