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Posthuman and cyborg, ideology and experience: Focusing on Kevin Warwick's I, Cyborg and Kim Cho-Yeop and Kim Won-young's Become a Cyborg
-
Hui-Teak, Kim;
;
(다문화콘텐츠연구 = Journal of multi-cultural contents studies,
v.36,
2021,
pp.269-295)
-
72
-
포스트휴먼과 사이보그, 이념과 경험 : 케빈 워릭의 『나는 왜 사이보그가 되었는가』와김초엽・김원영의 『사이보그가 되다』를 중심으로
-
김휘택;
중앙대학교;
(다문화콘텐츠연구,
v.0,
2021,
pp.270-295)
-
73
-
생태재난 시대, 지구공동체 회복서사의 교육적 함의
-
황지영;
충북대학교;
(문학교육학,
v.0,
2025,
pp.141-170)
-
74
-
한국 기후소설(cli-fi)의 시공간 도상성 연구 - 심리스 리얼리티에 대한 비판적 기능을 중심으로
-
박인성;
부산가톨릭대학교;
(대중서사연구,
v.30,
2024,
pp.265-299)
-
75.
- 2016년 이후 여성서사의 신체연결성 연구 : SF 상상력을 중심으로
- 하지우
-
동아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06 p., 2022
-
76.
- 한국 SF소설을 활용한 내러티브 기반 융복합교육 연구
- 최예슬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182 p, 2024
-
77
-
한국 기후소설(cli-fi)의 시공간 도상성 연구 - 심리스 리얼리티에 대한 비판적 기능을 중심으로
-
박인성;
;
(대중서사연구,
v.30,
2024,
pp.265-299)
-
78
-
한・중 여성 SF소설에 나타난 페미니즘 양상 ― 『지구 끝의 온실』과 『작은 버섯(小蘑菇)』을 중심으로
-
딩징이;
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한중언어문화연구,
v.0,
2024,
pp.191-219)
-
79
-
‘실내 우주’의 SF 에톨로지 : 사물-동물-식물의 애니메이팅 인터페이스에 관한 일고찰
-
권두현;
동아대학교 젠더어펙트연구소;
(석당논총,
v.0,
2022,
pp.171-209)
-
80.
- 한국어와 베트남어의 피동법 대조연구 : 소설에서의 피동문을 중심으로
- 쩐티수언
-
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, 국내석사,
v, 62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