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19세기 초 독일 시민계급의 이데올로기와 그림동화
-
송희영;
동덕여자대학교;
(독어교육,
v.76,
2019,
pp.203-224)
-
72.
- 1870년대 독일 문화투쟁에 대한 연구
- 이주희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50p., 2004
-
73.
- Heinrich Heines Ma@dchen und Frauen : Frauenemanzipatorische Ansa@tze bei Heine
- 이군호
-
Universita@t Du@sseldorf, 국외박사,
288 p., 2000
-
74
-
테르치네 운의 독일적 실현 - 괴테의 「쉴러의 유골」과 <파우스트>를 중심으로
-
장제형;
인천대학교;
(괴테연구,
v.0,
2016,
pp.53-79)
-
75
-
Archaik und Moderne Goethes Formexperiment ,Hermann und Dorothea‘
-
Helmut J. Schneider;
Univ. Bonn;
(독일어문화권연구,
v.0,
2008,
pp.7-35)
-
76
-
창조적 전위의 미학 - 쥬꼽스끼의 세 발라드 <류드밀라>, <스베뜰라나>, <레노라> 연구
-
양영란;
;
(노어노문학 = Korean journal of Russian language and literature,
v.23,
2011,
pp.131-147)
-
77.
- 김수영 시에 나타난 하이데거의 '시적 진리'에 관한 연구
- 홍순희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ii, 285 p., 2015
-
78.
- F. Schubert 가곡 “Lied der Mignon D. 877, Op. 62”에 관한 연구 : 시와 음악의 관련성을 중심으로
- 이현주
-
대신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8 p., 2014
-
79
-
Die Ikonizitaet der Naturbilder Joseph von Eichendorffs
-
홍성군;
창원대학교;
(독어독문학,
v.49,
2008,
pp.239-254)
-
80.
- 독일 시민대학(Volkshochschule)의 평생교육학적 의미 분석
- 서지현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76 p., 200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