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4건 중 424건 출력
, 8/43 페이지
-
71.
- 석장리유적 출토의 좀돌날 계열 유물 연구
- 서인선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7, iip., 2003
-
72
-
공주 단지리유적 출토 백제 기와의 고고과학적 특성
-
장성윤;
이찬희;
박대순;
국립문화재연구소;
공주대학교;
충청문화재연구원;
(보존과학회지,
v.22,
2008,
pp.15-30)
-
73
-
양구 고대리유적 출토 합인석부(蛤刃石斧)의 표면관찰
-
이창승;
(재) 호남문화재연구원;
(건지인문학,
v.0,
2020,
pp.203-221)
-
74
-
고성 삼덕리유적 출토 적색마연토기의 제작 특성 연구
-
한이현;
김수경;
진홍주;
장성윤;
한울문화재연구원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국립문화재연구소;
(헤리티지:역사와 과학,
v.53,
2020,
pp.170-187)
-
75
-
수촌리유적 환두대도의 복원기술 개발
-
정광용;
강대일;
정동찬;
윤용현;
이현상;
한국전통문화학교;
한국전통문화학교;
국립중앙과학관;
국립중앙과학관;
동양대학교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년도 제24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,
v.2006,
2006,
pp.128-130)
-
76
-
언남리유적 철제재갈의 제작기술
-
정광용;
이수희;
범대건;
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;
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;
한국전통문화학교 보존과학과;
(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년도 제23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,
v.2006,
2006,
pp.171-172)
-
77
-
삼국시대 대마 재배 : 나주 복암리유적 토기압흔 자료를 중심으로
-
정유진;
김민구;
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;
전남대학교;
(고문화,
v.0,
2022,
pp.7-28)
-
78.
- 다호리유적으로 본 弁辰走漕馬國의 형성과 변천
- 안홍좌
-
창원대학교, 국내석사,
44, 2012
-
79
-
동아시아에서 본 한국 목간과 제사 유적-경산 소월리유적을 중심으로
-
이성시;
;
(木簡과 文字,
v.0,
2024,
pp.11-27)
-
80
-
정어리유의 식용유지 대체가 흰쥐의 혈청 지질에 미치는 영향
-
최임순;
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韓國營養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.,
v.20,
1987,
pp.237-2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