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145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1970년대 한국의 실험미술에서 사진의 활용과 지표적 징후들
-
여문주;
중앙대학교;
(문화예술산업연구,
v.22,
2022,
pp.1-13)
-
72
-
PR페이지 - 박종도 윤일문화 대표, 한국철학사전 발간
-
임남숙;
대한인쇄문화협회;
(프린팅코리아 = Printing Korea,
v.11,
2012,
pp.110-111)
-
73.
- 미디어 아트의 시간성 표현에 기반한 미술교육의 방향성 연구 : 중학교 미술교과를 중심으로
- 조성희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53 p., 2017
-
74
-
김수영 시와 트랜스모더니티 통일
-
이인영;
한양대학교;
(국어문학,
v.86,
2024,
pp.377-404)
-
75.
- 철학 교육 발전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 개선 방안
- 한 재호
-
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v, 64 p., 2008
-
76
-
블루멘베르크(H. Blumenberg)의 은유의 해석학 - 『은유학의 범형들』을 중심으로
-
최성환;
;
(哲學探究 = Philosophical investigation,
v.23,
2008,
pp.227-252)
-
77.
- 다매체 순환 프로젝트를 통한 아동의 미술표현 위기 극복에 관한 연구
- 윤고운
-
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7 p., 2005
-
78
-
Rombach의 현상학 기반 미술치료에 대한 고찰
-
정은주;
울산정앤정미술치료연구소;
(미술치료연구,
v.29,
2022,
pp.663-683)
-
79.
- 노동과 도구에 관한 디스토피아적 조각 창작 연구 :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
- 박주현
-
부산대학교, 국내박사,
125, 2022
-
80
-
포스트-미디어 이후의 매체특정성 - 예술은 여전히 자율적일 수 있는가?
-
안소현;
홍익대학교;
(한국예술연구,
v.0,
2023,
pp.129-1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