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7건 중 97건 출력
, 8/10 페이지
-
71
-
‘재난’은 어떻게 소비되고 있는가: 영화《두더지》와 재난 내러티브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2,
pp.55-77)
-
72
-
미군점령 초기 문단의 주체론― 『신일본문학』과 『근대문학』속의 주체 논의를 중심으로 ―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18,
pp.73-94)
-
73
-
야나기다 이즈미의 근대문학관-사회사상의 총괄로서의 문학 개념-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8,
pp.117-135)
-
74
-
‘지속 가능한’ 천황가 서사와 시선의 권력: ‘마사코 황후’에 대한 대중의 판타지와 관음적 시선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일본비평,
v.0,
2024,
pp.158-191)
-
75
-
귀환체험담의 ‘비극’ 재현 담론 속 ‘반전평화주의’-1970년대 전환기의 귀환체험담 담론비평-
-
박이진;
서울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13,
pp.105-130)
-
76
-
일본사회의 외국인 ‘혐오’와 혼혈 - ‘국제아’, ‘더블’ 담론의 이분법과 ‘아시아계’ 혼혈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3,
pp.141-172)
-
77
-
《20세기 소년》의 ‘1970년 일본세계박람회’트라우마 재현과 그 의미
-
박이진;
성균관대학교;
(日本思想,
v.0,
2022,
pp.82-111)
-
78
-
대만의 근대건축과 식민지 특수성 -『대만건축회지』분석을 중심으로
-
박이진;
김예슬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과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19,
pp.127-151)
-
79
-
수신 교과서 『부녀감(婦女鑑)』의 텍스트성 -일본 근대 전환기 여성 표상의 다양성-
-
박이진;
박시언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22,
pp.193-228)
-
80
-
현대일본의 시민사회와 ‘독도’
-
오주영;
박이진;
동북아역사재단;
성균관대학교;
(史叢(사총),
v.0,
2022,
pp.155-17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