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7건 중 97건 출력
, 8/10 페이지
-
71
-
북한의 4차 핵실험 이후 중국의 대응 - ‘왕이 이니셔티브’의 배경과 함의
-
박홍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학연구,
v.0,
2016,
pp.249-269)
-
72
-
대소련 동맹 딜레마 논리를 통해본 냉전기 중국의 대외적 군사 행태
-
박홍서;
동덕여자대학교;
(현대중국연구,
v.15,
2013,
pp.1-32)
-
73
-
1949년 이후 중국 외교의 전개와 변화: 팍스아메리카로부터의 소외, 그리고 참여
-
박홍서;
동덕여자대학교;
(중국연구,
v.47,
2009,
pp.69-88)
-
74
-
제 1,2차 국공합작기 미국과 소련의 대중 정책 연구
-
박홍서;
한국외대;
(중국연구,
v.38,
2006,
pp.3-20)
-
75
-
냉전기 한국의 국가폭력과 미국의 대응: 4·3, 4·19, 5·18을 사례로
-
박홍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통일과 평화,
v.8,
2016,
pp.45-78)
-
76
-
서평-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1,2
-
박홍서;
동덕여자대학교;
(중소연구,
v.29,
2005,
pp.197-199)
-
77
-
게임이론을 통해 본 중국의 대한반도 전략 - 천안함, 연평도 사건을 중심으로
-
박홍서;
동덕여자대학교;
(중국연구,
v.52,
2011,
pp.353-373)
-
78
-
국가는 왜 주민보호에 실패하는가? 조선기 한반도 분쟁과 국가의 반(反)인민적 행태를 중심 사례로
-
박홍서;
동덕여자대학교;
(한국정치학회보,
v.47,
2013,
pp.45-62)
-
79
-
‘권력투쟁’의 정당화?: 한반도 안보위기시 외세 담론과 국내정치
-
박홍서;
동서대학교;
(문화와 정치,
v.9,
2022,
pp.197-234)
-
80
-
제2이미지를 통해 본 임진왜란과 병자호란: 대내 취약성과 대외 과소균형
-
박홍서;
동서대학교;
(동북아연구,
v., 37,
2022,
pp.87-11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