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8/17 페이지
-
71
-
궁중 내농작과 농가 내농작의 의미와 기능-궁중풍속과 민속의 관계를 생각하며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45,
2007,
pp.95-142)
-
72
-
된장을 통해본 민족음식의 전통과 변화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35,
2002,
pp.51-78)
-
73
-
陳獨秀의 民主政治思想
-
배영동;
전북대학교;
(중국사연구,
v.0,
2004,
pp.285-330)
-
74
-
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과 연구-미국 최초 민속학박사 Warren E. Roberts의 연구를 중심으로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4,
pp.133-172)
-
75
-
전통적 마을민속의 공공문화 자원화 과정-안동 하회탈놀이와 국제탈춤페스티벌의 경우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5,
pp.97-136)
-
76
-
집들이[入宅] 풍속의 전통과 변화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6,
pp.91-123)
-
77
-
영주 순흥지역 풋굿[草宴] 의례의 양상과 특성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26,
2015,
pp.183-216)
-
78
-
안동식혜의 정체성과 문화사적 의의 -품격, 발생, 확산에 대한 문제제기를 중심으로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14,
2009,
pp.307-338)
-
79
-
종가음식의 혈연공동체성 변화와 전승 과제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36,
2020,
pp.7-53)
-
80
-
『음식디미방 』저자 실명 ‘장계향(張桂香)’의 고증과 의의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실천민속학 연구,
v.19,
2012,
pp.163-18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