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,304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 계통
-
정호섭;
;
(韓國古代史硏究 = The Journal of Korean Ancient History,
v.61,
2011,
pp.301-336)
-
72
-
고구려 고분벽화의 원류(原流), 중국 고분벽화 - 박아림, 『중국한당벽화(中國漢唐壁畫)』(학연문화사, 2022) -
-
김근식;
전남대학교;
(고구려발해연구,
v.75,
2023,
pp.155-162)
-
73
-
중앙(中央) 아세아(亞細亞) 벽화(壁畵) 보존처리(保存處理)(I) - 벽화(壁畵)(본(本)4074, 본(本)4096)의 상웅조사(狀熊調査) -
-
강형태;
이용희;
유혜선;
김연미;
조연태;
靑
木
繁
夫
;
山
本
記
子
;
大
林
賢
太
郞
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;
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실;
독립행정법인 동경문화재연구소;
문화재보존지원기구;
문화재보존지원기구;
(박물관보존과학 =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,
v.3,
2001,
pp.43-50)
-
74
-
고구려 벽화를 통해서 본 고구려의 정체성 연구
-
박아림;
;
(高句麗硏究= Journal of Koguryo studies,
v.29,
2007,
pp.283-303)
-
75
-
크로마뇽인이 그린 그림 라스코 동굴 벽화
-
이종호;
과학저술가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8,
2005,
pp.106-107)
-
76
-
고구려 고분벽화 복식
-
편집부;
;
(韓服文化 =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nstume,
v.4,
2001,
pp.15-75)
-
77
-
라캉의 정신분석학 개념으로 살펴 본 한국의 현대 벽화
-
조현신;
국민대학교 테크노 디자인 대학원 디지털 미디어;
(디자인學硏究 =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,
v.15,
2002,
pp.187-196)
-
78.
- 고분벽화와 민화의 비교 분석
- 이미영
-
德成女子大學校 一般大學院, 국내석사,
47p., 2001
-
79
-
集安 五회墳 四ㆍ五號墓 벽화 연구
-
김진순;
;
(미술사연구 = Journal of art history,
v.2003,
2003,
pp.79-132)
-
80.
- 4-7세기 집안(集安) 고구려 고분벽화 악기도 연구 : 돈황(敦煌) 막고굴 벽화의 비교 분석
- NIE QINYU
-
전남대학교, 국내박사,
240, 202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