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.
- 영상과의 상호매체적 작용을 통한 연극 언어의 변화양상 연구 : 2010년대 다매체 연극을 중심으로
- 장하늬
-
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, 국내석사,
iv, 140 p., 2015
-
72.
- M. Duras의 『롤 베 스타인의 황홀』에 나타난 황홀의 재현 연구
- 정유진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, 145 p., 2018
-
73
-
페루 공포 시기의 소설과 연극의 사회적 기능: 훌리오 오르떼가와 유야츠까니 극단의 ⟨잘 있어라, 아야쿠초⟩를 중심으로
-
송병선;
울산대학교;
(이베로아메리카 연구,
v.31,
2020,
pp.75-98)
-
74.
- (A) study on L Gong-Zuo's Chuan-Qi novels
- 윤하병
-
전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52p., 1985
-
75.
- LED용 신규 적색 협반치폭 형광체 발견
- 김민석
-
세종대학교, 국내박사,
152장, 2019
-
76
-
알라르꼰 소설의 전통적 자유주의와 성(性) 이데올로기
-
임주인;
서울대학교;
(이베로아메리카 연구,
v.16,
2005,
pp.151-172)
-
77
-
스페인 전전 사회소설- 기원과 공통주제 및 서술기법을 중심으로
-
박효영;
부산외국어대학교;
(지중해지역연구,
v.7,
2005,
pp.101-122)
-
78
-
셀라의 소설: 폭력과 죽음의 묘사를 통한 과거의 기억
-
송선기;
조선대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9,
pp.139-160)
-
79
-
라우라 에스끼벨의 소설 『말린체』에 형상화된‘말린체’의 복합적 이미지, 그리고 페미니즘
-
조구호;
;
(세계문학비교연구,
v.0,
2008,
pp.337-361)
-
80
-
실화와 허구의 경계에서: 최근 스페인 내전 소설의 한 경향과 역사성찰의 한계
-
임호준;
한국예술종합학교;
(스페인어문학,
v.0,
2008,
pp.277-29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