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,334건 중 1,000건 출력
, 8/100 페이지
-
71
-
만해(萬海) 한용운(韓龍雲)의 시조(時調)와 한시(漢詩)
-
이종건;
수원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3,
2005,
pp.133-159)
-
72
-
『동아일보』와 시조 정전
-
강영미;
;
(한국시학연구 = Korean poetics studies,
v.2012,
2012,
pp.123-148)
-
73
-
시조 장단 점수고 (時調 長短 點數考)
-
장사훈;
서울대 음대;
(文化財 =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,
v.5,
1971,
pp.70-85)
-
74
-
시조 작품의 교감 간제 - <해동가요>와 <어부사시사> -
-
심재완;
영남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0,
2004,
pp.97-111)
-
75.
- 교훈 시조 연구
- 김하나
-
嶺南大學校, 국내석사,
170 p., 2012
-
76
-
절구, 시조, 하이쿠의 미학적 비교
-
신영명;
;
(우리 文學 硏究 = The Studies of Korean Literature,
v.35,
2012,
pp.75-90)
-
77
-
시조-원예사조곡
-
정호원;
;
(중국조선어문 = Korean Language in China,
v.95,
1998,
pp.53-53)
-
78
-
회와 윤양래 시조 고찰-시조 19수의 발굴을 통해-
-
박을수;
;
(국어국문학,
v.125,
1999,
pp.187-204)
-
79
-
시조와 궁중 악장의 관계
-
조규익;
숭실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5,
2006,
pp.145-174)
-
80
-
위당 시조 <자모사>의 서사성
-
오동춘;
;
(국어국문학,
v.100,
1988,
pp.437-4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