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4건 중 154건 출력
, 8/16 페이지
-
71
-
한.중 역사인식의 접점- 고구려사를 어떻게 볼 것인가를 기획하며 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5,
pp.17-24)
-
72
-
책봉호 수수(授受)를 통해 본 수·당의 동방정책과 삼국의 대응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6,
pp.31-59)
-
73
-
치밀한 논리로 고구려 정치사의 난제를 부드럽게 녹여낸 역저 -⟨⟨고구려 정치사 연구⟩⟩(임기환, 한나래, 2004)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4,
pp.349-367)
-
74
-
⟨광개토왕릉비⟩에 나타난 고구려의 대중인식(對中認識)과 대외정책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05,
pp.25-60)
-
75
-
서양학계의 한국고대사 인식체계의 변화 -동양학계와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-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사연구,
v.0,
2010,
pp.1-47)
-
76
-
集安高句麗碑와 광개토왕릉비 序頭의 단락구성과 서술내용 비교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신라문화,
v.45,
2015,
pp.35-66)
-
77
-
高句麗의 國家形成과 漢의 對外政策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군사,
v.0,
2005,
pp.1-37)
-
78
-
설림: 중국의 東北工程과 高句麗史 인식체계의 변화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;
(한국사연구,
v.0,
2004,
pp.277-315)
-
79
-
4세기 高句麗의 樂浪․帶方 경영과 中國系 亡命人의 정체성 인식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한국고대사연구,
v.0,
2009,
pp.159-200)
-
80
-
高句麗 初期의 王位繼承原理와 古鄒加
-
여호규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동방학지,
v.0,
2010,
pp.139-19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