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35건 중 535건 출력
, 8/54 페이지
-
71.
- 燕行錄 所載 演戱 記錄의 資料的 檢討
- LU SHUTING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35 p, 2023
-
72.
- 朝鮮後期 豊山洪氏 家門燕行錄 硏究
- 린위이
-
高麗大學校, 국내박사,
421 p., 2019
-
73.
- 연행록을 통해 본 청대 북경의 문화생활 : 연극을 중심으로
- 자오, 멍멍
-
부산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29 장, 2020
-
74
-
근대 연행록에 나타난 만주 의식
-
허경진;
연세대학교;
(연민학지,
v.40,
2023,
pp.261-301)
-
75
-
조선후기 연행록에서 북경 ‘西山’의 의미
-
임영길;
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;
(대동한문학(大東漢文學),
v.57,
2018,
pp.205-240)
-
76
-
조선시대 복식문화의 정체성 의식에 관한 연구 - 연행록ㆍ해행록의 분석을 중심으로
-
이민주;
;
(韓服文化 =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nstume,
v.12,
2009,
pp.169-183)
-
77
-
남공철 연행록 연구
-
안순태;
서울대학교;
(국문학연구,
v.0,
2019,
pp.153-182)
-
78
-
[고전 11] 조선시대, ‘여성작가’ 형상 만들기 - 18세기 연행록, 19세기 백과전서 속의 난설헌 직조(織造) -
-
Kim , hyunmi;
;
(梨花語文論集,
v.43,
2017,
pp.203-219)
-
79
-
The Necessity and Solution of the Korea-China Cooperative Research on the Study of Yeonhaengrok
-
Liang, Zhao;
;
(인문사회 21 =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1,
v.8,
2017,
pp.319-336)
-
80
-
연행록과 일본학 연구
-
부마진;
정태섭;
日本 京都大學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1,
pp.137-1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