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9건 중 179건 출력
, 8/18 페이지
-
71
-
나카가미 겐지와 윤흥길의 문학 교류 - 아시아 문학으로서 『봉선화(鳳仙花)』와 『에미』의 출발 -
-
박진향;
제주대학교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3,
pp.129-156)
-
72.
- 1970년대 연작소설 연구 : 이문구, 조세희, 윤흥길을 중심으로
- 이경원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v, 95 p., 2005
-
73.
- 반응중심학습을 통한 분단소설의 교수-학습 연구 : 중학교 교과서 윤흥길 <기억 속의 들꽃>을 중심으로
- 윤진아
-
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, 76 p., 2010
-
74
-
윤흥길론-문학 교육과 관련하여
-
정호웅;
홍익대학교;
(국제한인문학연구,
v.1,
2011,
pp.335-364)
-
75.
- 영상매체를 활용한 소설교육방법 연구 : 윤흥길의「기억속의 들꽃」을 중심으로
- 이지형
-
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70장, 2011
-
76.
- 윤흥길과 밥시 싯화의 소설에 나타난 분단 트라우마 연구
- 쿠마리 스라와니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i, 53 p., 2023
-
77
-
윤흥길 소설 ≪에미≫의 모성신화 형성 연구
-
서은선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06,
pp.321-349)
-
78
-
Masochism of aspect in Yoon Heung-Gil’s novels - Focused on the series of “The Man Who Was Left as Nine Pairs of Shoes”
-
Seo, Bo-ho;
An, A-reum;
;
(현대문학이론연구= (The)Journal of modern literary theory,
v.72,
2018,
pp.159-194)
-
79
-
윤흥길의 『장마』에 나타난 샤머니즘의 의미 고찰
-
배경열;
건국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1,
pp.155-177)
-
80
-
윤흥길의 『장마』에 나타난 민간신앙의 의미
-
엄숙희;
전북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14,
pp.175-19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