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.
- 한국 모더니즘 희곡 연구 : 1960년대를 중심으로
- 김영학
-
조선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v, 130p., 2000
-
72
-
한국비교문학회와 국제문화교류사업: 재건 이전 한국비교문학회의 문학사적 ․ 제도사적 맥락을 중심으로
-
최진석;
성균관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21,
pp.71-104)
-
73.
- 독일 연극의 한국 수용 연구 : 주요 쟁점을 통한 사적 고찰
- 장미진
-
成均館大學校 大學院, 국내박사,
iii, 209p., 2004
-
74
-
<춘향가> 변주(變奏)에 나타난 한국 사회계층화의 변모
-
이미원;
한국예술종합학교;
(한국연극학,
v.1,
2015,
pp.45-82)
-
75.
- 김의경 연구 : 연극 활동을 중심으로
- 박지혜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i, 90 p., 2019
-
76
-
서머싯 몸 문학의 수용, 인간 이해의 도정
-
안미영;
건국대학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24,
pp.543-578)
-
77.
- 김상열 희곡의 현실인식 연구
- 김병선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ⅵ, 112 p., 2009
-
78
-
1960년대 장로교 ‘승동측’과 ‘고신측’의 합동이 재분리에 이른 과정
-
양낙흥;
고신대학대학원;
(한국기독교와 역사,
v.0,
2007,
pp.139-172)
-
79
-
영호(石顚) 정호(漢永)와 중앙불교전문학교- 한국의 ‘윌리엄스 칼리지’ 혹은 ‘엠허스트 칼리지’ -
-
고영섭;
동국대학교;
(한국불교학,
v.0,
2014,
pp.33-69)
-
80
-
1960년대 장로교 ‘승동측’과 ‘고신측’의 합동이 재분리에 이른 과정
-
양낙흥;
;
(한국기독교와 역사= Christianity and history in Korea,
v.2007,
2007,
pp.139-17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