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570건 중 570건 출력
, 8/57 페이지
-
71
-
Sfard의 구상화(Reification) 이론에 근거한 중·고등학생의 이차방정식 근의 공식 개념 형성 수준 분석
-
장현석;
이봉주;
경북대학교 대학원;
경북대학교;
(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. Series A. The Mathematical Education,
v.57,
2018,
pp.231-246)
-
72
-
초.중.고등학생의 수학과 내용 영역별 학업성취도 비교 분석 -2003~2008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-
-
이봉주;
한국교육과정평가원;
(한국수학사학회지 = The Korean journal for history of mathematics,
v.23,
2010,
pp.59-82)
-
73
-
교육실습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예비교사의 수학에 대한 교사 효능 신념의 변화
-
이영혜;
권종겸;
이봉주;
경북대학교 대학원;
경북대학교 대학원;
경북대학교;
(數學敎育學硏究 =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,
v.23,
2013,
pp.407-422)
-
74
-
부틸아세트산 메틸 이성체에 의한 산화아연(ZnO)의 식각
-
이봉주;
정헌상;
이경섭;
조선대 자연대 물리화학부;
조선대 공과대 전기공학부;
동신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;
(전기학회논문지.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. C/ C, 전기물성·응용부문,
v.51,
2002,
pp.111-114)
-
75
-
스테레오 카메라에 의한 위치 추적과 3차원 데이터 후처리 프로그램의 연동
-
김병수;
서진원;
이봉주;
충남대학교;
충남대학교;
충남대학교;
(韓國軍事科學技術學會誌 = Journal of the KIMST,
v.9,
2006,
pp.114-119)
-
76
-
가족빈곤과 가족구조가 아동학대와 방임에 미치는 영향
-
이봉주;
김광혁;
서울대학교;
서울대학교;
(아동과 권리,
v.11,
2007,
pp.333-359)
-
77
-
수학교사의 요구를 반영한 창의성과 인성 교육 전문성 신장 내용요소 탐색
-
김현아;
이봉주;
;
(수학교육,
v.55,
2016,
pp.485-501)
-
78
-
초등학교 1.2학년 스토리텔링 기반 수학교과서 적용을 통한 교사의 인식 변화
-
권종겸;
이영혜;
이봉주;
경북대학교 대학원;
경북대학교 대학원;
경북대학교;
(학교수학 = School Mathematics,
v.15,
2013,
pp.683-699)
-
79
-
표고버섯의 수확 후 냉각과 품질변화
-
황용수;
이봉주;
이우석;
;
(원예과학기술지 = Korean journal of horticultural science & technology,
v.19,
2001,
pp.137-137)
-
80
-
초대형 기판의 PR Strip을 위한 절연체 격벽 플라즈마 장치
-
박영춘;
이봉주;
케이씨텍 부설 기술연구소;
;
(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= Information display,
v.4,
2003,
pp.11-1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