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0건 중 150건 출력
, 8/15 페이지
-
71
-
헤테로토피아와 고향유토피아 ― 김사량과 루쉰, 이창동과 지아장커의 작품을 중심으로
-
이시활;
경북대학교;
(중국학,
v.0,
2022,
pp.337-363)
-
72
-
한국현대사회에 대한 성찰적 기획으로서이창동의 영화들
-
주진숙;
중앙대학교;
(영상예술연구,
v.0,
2007,
pp.105-131)
-
73
-
서술점 관점에서 본 이창동의 작품세계:⟨박하사탕⟩을 중심으로
-
이덕화;
평택대;
(문학과 영상,
v.4,
2003,
pp.2-46)
-
74
-
자율운항선박 관제 지원 기능개발을 위한 위험도평가 요소 도출 설문조사 및 분석
-
김남수;
이창동;
서여진;
(주)지씨 기업부설연구소;
(주)지씨 기업부설연구소;
(주)지씨 기업부설연구소;
(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,
v.2022,
2022,
pp.169-170)
-
75
-
이창동 소설에 나타난 가족분석담론 연구- 「소지」와 「친기」를 중심으로
-
최영자;
강원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5,
pp.223-256)
-
76.
- 태권도 시범 활동에 따른 도장이미지와 소비자행동과의 관계
- 이창동
-
계명대학교, 국내석사,
iv, 67장, 2012
-
77
-
영화를 통해 본 ‘쓰기’의 의미 - 영화 〈시〉를 중심으로
-
김중철;
;
(韓國民族文化,
v.2010,
2010,
pp.391-408)
-
78.
- 소설과 영화의 서사 구조 비교 연구 : 이청준의 『벌레 이야기』와 이창동의 『밀양』을 중심으로
- 강민석
-
한양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5 p., 2008
-
79
-
소설 「벌레 이야기」에서 영화 〈밀양〉으로
-
송태현;
;
(세계문학비교연구 = The comparative study of world literature,
v.25,
2008,
pp.327-352)
-
80
-
공동체의 (불)가능 조건으로서의 시인: 윌리엄 워즈워스의 「가시나무」와 이창동의 <시> 비교 연구
-
강희원;
경희대학교;
(동서비교문학저널,
v.0,
2015,
pp.29-5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