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1건 중 121건 출력
, 8/13 페이지
-
71.
- 현대시의 키치 전유 기법 : 1980년대~90년대 시를 중심으로
- 박동억
-
숭실대학교, 국내석사,
v, 183 p., 2015
-
72
-
메타픽션에 나타나는 패러디와 해체의 담론 시학 - 장정일의 「그것은 아무도 모른다」분석을 중심으로 -
-
김병로;
한남대학교;
(한남어문학,
v.23,
1998,
pp.171-193)
-
73
-
22.9kV 배전선로 항공 진단 방법 적용에 관한 연구
-
장정일;
강병석;
한국전력공사;
한국전력공사;
(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,
v.2011,
2011,
pp.442-443)
-
74
-
하이메 알라스라키의 신환상성 이론과 한국문학 - 장정일의 「펠리컨」과 오수연의 「벌레」 분석
-
전용갑;
한국외국어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4,
pp.185-220)
-
75
-
부정의 윤리와 진정성 너머의 문학 – 종교로서의 자본주의를 향한 장정일의 시적 대응
-
김예리;
강원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8,
pp.649-691)
-
76
-
스마트 클라이언트를 적용한 프로그래밍 과제평가 시스템 설계 및 구현
-
장정일;
지정훈;
우균;
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부산대학교 컴퓨터공학과;
(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제27회 춘계학술발표대회,
v.2007,
2007,
pp.1380-1382)
-
77
-
후위(後衛)의 공포와 전위(前衛)의 환상 : 1990년대 장정일의 소설과 포르노그래피의 형식
-
정주아;
강원대학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19,
pp.295-326)
-
78.
- 포스트모더니즘 시 교육 방법 연구 : 문학 교과서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
- 김보라
-
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, 86 p., 2009
-
79
-
만들어진 내면성 - 김영현과 장정일의 소설을 통해 본 1990년대 초 문학의 내면성 구성과 전복 양상
-
배하은;
서울대학교;
(한국현대문학연구,
v.0,
2016,
pp.547-585)
-
80
-
혁명과 성(性), 문학의 공존(불)가능성 - 1980~90년대 장정일 문학의 젠더/섹슈얼리티 문화정치학
-
박지영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현대문학의 연구,
v.0,
2022,
pp.403-44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