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88건 중 188건 출력
, 8/19 페이지
-
71
-
식민지근대에 복권된 양명학 - 정인보의 󰡔양명학연론󰡕은 다카하시의 조선유학사에 대한 대항인가?
-
이혜경,;
;
(人文 論叢 : 서울大學校,
v.76,
2019,
pp.213-250)
-
72
-
鄭寅普의 朝鮮陽明學派 硏究에 관한 一考察
-
신현승;
;
(인문과학연구 :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= Studies in humanities,
v.23,
2009,
pp.403-428)
-
73
-
개신 유교 변동론의 사회이론화 가능성 연구- 위당 정인보의 사상을 중심으로
-
이황직;
숙명여자대학교;
(한국학논집,
v.0,
2017,
pp.167-206)
-
74
-
The Formation of “Korean Philosophy” in Modern Period and the Transition of Neo-Confucianism into Philosophy : Focusing on Park Eun-sik and Jeong In-bo
-
Kim, Woo-hyung;
;
(韓國學論集 = Keimyung Korean studies journal,
v.96,
2024,
pp.209-242)
-
75
-
리쾨르의 ‘이야기 정체성’ 이론을 통해 본 정인보의 ‘단군조선’과 ‘얼’ 사상
-
전종윤;
전주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20,
pp.605-634)
-
76
-
일제강점기 ‘민족성과 儒學의 관계성’ 담론을 통한 ‘한국적 儒學’(얼儒學) 試論 -다카하시 도루,신채호,정인보의 담론을 중심으로 -
-
권상우;
신라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11,
pp.277-314)
-
77
-
박은식과 정인보의 자아와 주체관 연구 - 진아(眞我)론과 실심(實心)론의 철학적 성격을 중심으로
-
김우형;
연세대학교미래캠퍼스 근대한국학연구소;
(율곡학연구,
v.48,
2022,
pp.213-240)
-
78
-
일제말 종교계의 개혁적 신정론 연구 정인보와 함석헌을 중심으로
-
이황직;
연세대학교;
(한국사회학,
v.37,
2003,
pp.7-170)
-
79
-
정인보의 조선 유교와 한국 고대사 인식-「오천년간 조선의 얼」을 중심으로
-
류시현;
광주교육대학교;
(공존의 인간학,
v.0,
2019,
pp.103-138)
-
80
-
일제강점기 정인보鄭寅普·안재홍安在鴻·최익한崔益翰의 다산茶山 연구
-
박홍식;
대구한의대학교;
(다산학,
v.0,
2010,
pp.45-9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