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荀子樂論小考
-
강지연;
창원대학교;
(대동철학,
v.106,
2024,
pp.23-42)
-
72
-
조선초 세종 시기의 『주역(周易)』 경연(經筵) 현황과 군신간의 정치적 활용 사례 연구
-
황병기;
대진대학교 인문학연구소;
(동방학지,
v.0,
2024,
pp.37-66)
-
73
-
徐命膺의 <<皇極一元圖>>에 나타난 易學思想 분석 - 소강절 역학과 서명응 역학의 영향과 관련하여 -
-
조희영;
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;
(규장각,
v.0,
2020,
pp.73-106)
-
74
-
18세기 조선 『대학』 해석 연구 동향 및 제언
-
이시연;
성균관대학교;
(인문과학,
v.0,
2024,
pp.037-073)
-
75
-
조선초기 경연에서의 역사서 강의
-
윤훈표;
역사실학회;
(동방학지,
v.0,
2024,
pp.1-36)
-
76.
-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관점에서 본 정조의 생활양식 분석
- 김은혜
-
충북대학교, 국내박사,
ix, 178 p., 2023
-
77
-
『帝鑑圖說』 판본과 각국 수용 양상의 비교 연구
-
박지영;
국립문화재연구소;
(미술사학연구,
v.311,
2021,
pp.5-43)
-
78.
- 현대 리더십의 문화적 특성에 기반을 둔 리더십 교육 발전방안 연구 : 최고경영자과정을 중심으로
- 한우
-
고려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9, 262 p., 2017
-
79.
- 율곡(栗谷)의 제왕교육론(帝王敎育論) 연구
- 홍석대
-
한국교원대학교, 국내박사,
viii, 259 p., 2019
-
80.
- 퇴계의 성인관 연구 : 『성학십도』를 중심으로
- 朴志潤
-
韓國學中央硏究院 韓國學大學院, 국내박사,
vii, 134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