-
71
-
부여 금강사의 축조시기와 당탑지 기단구조의 특성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11,
pp.23-46)
-
72
-
천안지역 고려사지 현황과 향후 과제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7,
pp.83-112)
-
73
-
공주 반죽동 추정 대통사지 발굴조사 내용과 성과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19,
pp.5-30)
-
74
-
공주지역의 穴寺와 그 활용 방안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18,
pp.27-57)
-
75
-
부여 정림사 소조상의 출토 층위와 목탑 존재의 검토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20,
pp.169-198)
-
76
-
기와와 遺跡 事例로 본 百濟 熊津期 大通寺 佛殿 지붕과 처마의 形式 檢討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문화사학,
v.0,
2020,
pp.5-36)
-
77
-
百濟 泗沘期 木塔 築造技術의 對外傳播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선사와 고대,
v.0,
2018,
pp.341-376)
-
78
-
부여 화지산유적 2019-2호 건물지의 건축고고학적 검토
-
조원창;
재단법인 국가문화유산연구원;
(마한백제문화,
v.44,
2024,
pp.68-92)
-
79
-
공주 반죽동 일원의 대지조성과 백제 웅진기 대통사의 위치 탐색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백제문화,
v.0,
2022,
pp.37-64)
-
80
-
호남지역 고려사지의 가람배치와 조영적 특징
-
조원창;
한얼문화유산연구원;
(한국중세고고학,
v.0,
2022,
pp.59-9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