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8/13 페이지
-
71.
- 광복 후 중국조선족 문학사 연구
- 차호걸
-
국제문화대학원대학교, 국내석사,
106 p., 2007
-
72.
-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중국어 지도 방안 연구
- 김유진
-
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3 p., 2007
-
73
-
카솔라와 모라비아의 여성상에 나타난 무관심과 저항
-
윤혜신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이탈리아어문학,
v.0,
2018,
pp.173-191)
-
74.
- 한시 화답 문화 이해를 통한 한·중 문화간 소통 능력 신장 교육 연구 : 『시화총림』에 나타난 소통 관련 기사를 중심으로
- Cui, Wenjuan
-
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02 p, 2014
-
75.
- 바흐친의 다성성 관점에서 본 「선귤당농소(蟬橘堂濃笑)」의 대화적 글쓰기
- 전정화
-
영남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104 p., 2020
-
76.
- 南原의 書藝와 書藝遺蹟 考察
- 진종모
-
원광대학교, 국내석사,
vii, 61p., 2007
-
77.
- 한국어 학습자 쓰기 텍스트에 나타난 결속기제 사용 연구 : 중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
- 민주희
-
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viii, 181 p., 2011
-
78
-
1920년대 한중 여성 극작가의 자기 서사 무대 재현 방식 연구 - 김명순과 바이웨이(白薇) 희곡을 중심으로 -
-
정병혜;
고려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4,
pp.113-149)
-
79
-
고유섭과 한국회화사 연구
-
김홍남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48,
2005,
pp.63-94)
-
80.
- 筆記의 관점에서 본『耳目口心書』硏究
- 최두헌
-
高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ii, 128 p., 201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