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1건 중 91건 출력
, 8/10 페이지
-
71
-
유사초월론- 데리다와 이성의 탈구축 -
-
진태원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철학논집,
v.53,
2018,
pp.103-126)
-
72
-
규율권력, 통치, 주체화 -미셸 푸코와 에로스의 문제-
-
진태원;
고려대학교;
(가톨릭철학,
v.0,
2017,
pp.39-80)
-
73
-
루이 알튀세르와 68 : 혁명의 과소결정?
-
진태원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서강인문논총,
v.0,
2018,
pp.403-452)
-
74
-
스피노자의 『윤리학』: 욕망의 힘, 이성의 역량
-
진태원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동서인문,
v.0,
2018,
pp.31-63)
-
75
-
마르크스와 알튀세르 사이의 푸코
-
진태원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철학사상,
v.0,
2018,
pp.195-237)
-
76
-
칼 슈미트와 자크 데리다 : 주권의 탈구축
-
진태원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현상학과 현대철학,
v., 0,
2018,
pp.3-42)
-
77
-
(탈)현대 이후, 마르크스주의 이후 - 데리다, 코젤렉, 차크라바르티, 그리고 그 너머
-
진태원;
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;
(민족문학사연구,
v.0,
2018,
pp.13-54)
-
78
-
[주제서평] 포스트휴머니즘 또는 디지털 자본주의의 이데올로기 - 한국에서 포스트휴머니즘 수용
-
진태원;
성공회대학교;
(기억과 전망,
v.0,
2022,
pp.222-243)
-
79
-
책머리에: 다중 재난 시대에 을의 민주주의를 모색하며
-
진태원;
성공회대학교;
(기억과 전망,
v.0,
2022,
pp.2-11)
-
80
-
스피노자와 마르크스, 또는 실천으로서의 철학(들)
-
진태원;
성공회대학교;
(마르크스주의 연구,
v.19,
2022,
pp.10-4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