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3건 중 153건 출력
, 8/16 페이지
-
71
-
최승자 시의 비극의식
-
박송이;
한남대학교;
(한남어문학,
v.31,
2007,
pp.67-84)
-
72
-
최승자 시 언어의 심리분석 - 즐거운 日記 를 중심으로
-
신영연;
한남대학교;
(한남어문학,
v.42,
2021,
pp.113-144)
-
73
-
최승자 시의 에코페미니즘적 의미
-
이혜원;
고려대학교;
(문학과환경,
v.18,
2019,
pp.157-193)
-
74
-
A Comparative Study of Women Poet's ‘inside’ of Poetic Diction : Focusing on Choi Seungja and Kim Hyesoon's poetry
-
Lim, Su Kyung;
;
(東亞人文學,
v.58,
2022,
pp.151-182)
-
75
-
최승자 시의 전복성 연구
-
오덕애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7,
pp.167-196)
-
76
-
Boom on Kim Jiha and Kim Hyeon, Munji, Choi Seungja : The Representation and Appropriation of the Third World Literature in 1980s
-
Park, Yeon Hee;
;
(동악어문학 = Journal of Dong-ak Language and Literature,
v.76,
2018,
pp.157-188)
-
77
-
1980년대 시의 알레고리 연구 - ‘광주’의 시적 형상화를 중심으로
-
권혁웅;
;
(한국근대문학연구 =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,
v.2009,
2009,
pp.257-275)
-
78
-
최승자 시에 나타난 오물의 의미와 침윤성(浸潤性) 존재론
-
유가은;
이경수;
중앙대학교;
중앙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25,
pp.256-283)
-
79
-
‘김지하 붐’과 김현, 문지, 최승자 : 1980년대 제3세계문학의 표상과 그 전유
-
박연희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8,
pp.157-188)
-
80
-
최승자 시의 시간성과 구원의 방법론 - 최승자의 80년대 시를 중심으로
-
이단비;
연세대학교;
(한국시학연구,
v.0,
2018,
pp.211-24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