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6건 중 146건 출력
, 8/15 페이지
-
71
-
칸트철학에서 “나는 생각한다”(Ich denke)의 초월적 의미
-
김승욱;
인천가톨릭대학교;
(가톨릭신학,
v.0,
2008,
pp.7-53)
-
72
-
칸트철학에서의 상상력과 놀이에 대한 미학적 고찰
-
공병혜;
조선대학교;
(철학연구,
v.57,
2002,
pp.125-146)
-
73
-
칸트철학에서 ‘선험적’과 ‘초월적’의 개념 그리고 번역어 문제
-
백종현;
서울대학교;
(칸트연구,
v.0,
2010,
pp.1-28)
-
74
-
철학상담 방법론에 있어서 칸트철학의 의의와 한계
-
김석수;
경북대학교;
(철학논총,
v.78,
2014,
pp.229-251)
-
75
-
스포츠에서 미와 도덕성과의 연결 - 칸트철학을 중심으로
-
윤미정;
연세대학교;
(한국체육학회지,
v.50,
2011,
pp.13-20)
-
76
-
초월적 자각과 깨달음(覺) - 칸트철학과 불교사상을 중심으로 -
-
강성률;
광주교육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1,
pp.145-170)
-
77
-
최상선과 최고선이 칸트철학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관한 연구
-
강성률;
광주교육대학교;
(초등도덕교육,
v.0,
2018,
pp.261-296)
-
78
-
칸트철학에서 철학과 대중 - 철학의 대중화 방향 모색과 관련하여 -
-
김석수;
경북대학교;
(칸트연구,
v.0,
2014,
pp.1-38)
-
79
-
칸트철학과 불교철학에서 마음과 물질의 관계 ― 오류 판단을 중심으로 ―
-
최인숙;
동국대학교;
(철학,
v.0,
2011,
pp.77-142)
-
80
-
근대 철학의 발생에 관한 연구 - 데카르트와 칸트철학에서 ‘자기의식’과 ‘신’ 관계의 변천
-
이재광;
동국대학교;
(철학∙사상∙문화,
v.0,
2009,
pp.147-18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