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2건 중 92건 출력
, 8/10 페이지
-
71
-
윤순지의 ⟨계미동사록(癸未東槎錄)⟩ 소재 부산 관련 시 연구
-
한태문;
부산대학교;
(한민족어문학(구 영남어문학),
v.0,
2023,
pp.165-196)
-
72
-
이민구의 『선위록(宣慰錄)』 연구
-
한태문;
부산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22,
pp.3-30)
-
73
-
조선통신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신청서 소재 詩·書 연구
-
한태문;
부산대학교;
(배달말,
v.0,
2017,
pp.299-332)
-
74
-
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시가문학 – 『대한매일신보』를 대상으로 –
-
문선영;
한태문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09,
pp.83-110)
-
75
-
딱지본 옛소설 사명당전四溟堂傳의 판본과 유통 맥락
-
이순욱;
한태문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3,
pp.413-443)
-
76
-
조선후기 사행록에 나타난 동아시아의 시각문화 - 조선후기 시각문화론의 발생과 전개에 관한 초보적 탐색 -
-
정훈식;
한태문;
부경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4,
pp.175-213)
-
77
-
남해군 설화의 지역성 연구 - 이성계 전설을 중심으로 -
-
류경자;
한태문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한국문학논총,
v.0,
2011,
pp.145-174)
-
78
-
유배(流配)[귀양] 인물 전설의 신원(伸寃)적 성격과 서술전략 연구 - 단종 전설을 중심으로 -
-
조수미;
한태문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인문연구,
v.0,
2016,
pp.159-178)
-
79
-
문화로 읽는 근대 이행기 매체문학 − 「少年韓半島」를 대상으로 −
-
문선영;
한태문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한국사상과 문화,
v.0,
2010,
pp.239-278)
-
80
-
한글편지로 본 조선후기 양반사대부의 관직 생활과 가족 - 의성김씨 학봉 김성일 종택 한글편지를 중심으로
-
노경자;
한태문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열린정신 인문학 연구,
v.24,
2023,
pp.65-92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