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25건 중 125건 출력
, 8/13 페이지
-
71
-
만주국 국가보물의 일본 나들이: 1942년 도쿄제실박물관(東京帝室博物館)의 <만주국국보전람회(滿洲國國寶展覧会)>
-
김용철;
고려대학교;
(박물관학보,
v.0,
2022,
pp.109-125)
-
72
-
The “Three Hills and Five Gardens” of Beijing with Its Organization and Representation as of a Landscape City
-
GAO, Jie;
ZHANG, Junhua;
千葉大学
園芸学
研
究科;
千葉大学
園芸学
研
究科;
(日本庭園學會誌,
v.21,
2009,
pp.21_15-21_20)
-
73.
- 일제 강점기 박물관의 교육적 의미 연구
- 국성하
-
연세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ix, 229 p., 2003
-
74
-
『시경』과 『맹자』에 기록된 영대(靈臺) 원림의 특성과 조선시대 인식
-
임한솔;
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;
(한국조경학회지 =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,
v.52,
2024,
pp.120-136)
-
75.
- 日帝의 同化政策과 扶餘 文化遺産의 ‘재해석’
- 박경남
-
공주대학교 문화유산대학원, 국내석사,
iv,58p, 2020
-
76
-
魏晉園林詩與生活美學
-
심우영;
상명대학교;
(중국학논총,
v.0,
2010,
pp.387-401)
-
77
-
『일본서기(日本書紀)』 응신기(應神紀) 성격과 5세기 전반 백제-왜 관계의 이해
-
장미애;
가톨릭대학교;
(역사와 현실,
v.0,
2021,
pp.77-112)
-
78
-
여성과 천황제 ― 미시마 유키오의 「여자는 점령당하지 않는다」와 오에 겐자부로의 『익사』를 중심으로 ―
-
이가현;
정병호;
고려대학교;
고려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23,
pp.49-71)
-
79
-
사라진 전투와 괴담의 형성 - 『헤이케뇨고노시마(平家女護島)』 속 겐페이(源平) 내란의 잔상을 중심으로 -
-
박은희;
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;
(日本學(일본학),
v.52,
2020,
pp.189-208)
-
80
-
일본의 고대국가 ‘이토국’(伊都國)에 대한 새로운 해석
-
박명미;
Saga University;
(유라시아문화,
v.12,
2025,
pp.169-2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