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495건 중 1,000건 출력
, 80/100 페이지
-
791
-
일본의 애니메이션 성지순례와 도시의 전략 -시즈오카현 누마즈 시의 관광객 증감 및 상업시설의 형상 변화를 중심으로-
-
이정훈;
건국대학교 일본문화언어학과;
(일본문화연구,
v.0,
2020,
pp.325-355)
-
792
-
한국유교 종족의례의 특징과 의미: 시제(時祭)의 ‘순례화’와 ‘조상종교론’을 중심으로
-
심일종;
서울대학교;
(종교문화비평,
v.32,
2017,
pp.288-327)
-
793
-
19세기 인도 자이나교 사원 건축의 변천과 그 원인: 샤뜨룬자야의 모띠샤 뚱크를 중심으로
-
구하원;
서울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07,
pp.8-31)
-
794
-
무라카미 하루키의 역사의식 고찰 -『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, 그가 순례를 떠난 해』를 중심으로-
-
조주희;
상명대학교;
(일본언어문화,
v.0,
2016,
pp.369-387)
-
795
-
전례 공간으로서의 교회를 현대미술 전시 공간으로 보게 하는 예술적 순례들에 대한 연구
-
김행지;
수원대학교;
(미술사와 시각문화,
v.0,
2017,
pp.152-195)
-
796
-
윤동주 시에 나타난 '영성 세계'의 순례 - '어머니'에서 '그리스도'에로 혹은 '그리움'에서 '사랑'에로 이르는 길
-
이은애;
덕성여자대학교;
(한국문예비평연구,
v.0,
2019,
pp.117-159)
-
797
-
금강산 유람의 통시적 고찰을 위한 시론 -불교적 성지 순례, ‘수양’에서 ‘구경’ 혹은 ‘관광’에 이르기까지-
-
민윤숙;
안동대학교;
(민속학연구,
v.0,
2010,
pp.117-144)
-
798
-
근대 한국불교에 있어서의 성지순례의 諸相 : 『한국근현대불교자료전집』을 중심으로
-
정영식;
불교문화연구원;
(불교연구,
v.0,
2011,
pp.79-108)
-
799
-
三合 : 문명탐험기+구법순례기+일반기행기 - 정수일의 『혜초의 서역기행과『왕오천축국전』』을 읽고 -
-
고영섭;
동국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4,
pp.51-57)
-
800.
- 페트라르카의 소네트에 바탕을 둔 리스트의 가곡과 피아노곡의 비교
- 박현경
-
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i, 121p., 2008