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7,167건 중 1,000건 출력
, 86/100 페이지
-
851
-
중학교 삼각형의 무게중심 단원에 대한 효과적인 지도 방안
-
금정연;
김동화;
SinEon Middle School;
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, Pusan National University;
(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,
v.29,
2013,
pp.425-447)
-
852
-
박종화와 김동리의 자리, “반탁운동의 후예들”과 한국의 우파 문단
-
공임순;
서강대학교;
(사학연구,
v.0,
2016,
pp.41-79)
-
853
-
Aspects of impressions of Chinese students on Kim Dong-in's [Bae Taragi]
-
Kim, Jeehye;
Yoon, young Jib;
;
(한중인문학연구 = Studies of Korean & Chinese humanities,
v.73,
2021,
pp.1-26)
-
854
-
김동리 연작소설의 불교적 접근 - 선(禪)을 통해서 본 운명 대응 방식 연구-
-
방민화;
숭실대학교;
(문학과 종교,
v.12,
2007,
pp.51-68)
-
855
-
해방 후 순수 문단과 세계문학의 개념 - 김동리와 조연현을 중심으로 -
-
김한식;
상명대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08,
pp.239-266)
-
856
-
해방정국 청년세대의 연대와 적대의 아포리아 ―김동리의 『해방』을 중심으로―
-
이혜진;
세명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19,
pp.81-106)
-
857
-
예비수학교사의 AI 소양과 SW 역량 계발에 관한 사례 연구
-
김동화;
김승호;
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;
Korea Science Academy of KAIST;
(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,
v.39,
2023,
pp.93-117)
-
858
-
야담잡지를 통한 역사소설가로서의 김동인 재조명: 일제강점기 단군 소설화 양상과 관련하여
-
이민희;
고려대학교;
(비교문학,
v.0,
2012,
pp.181-210)
-
859
-
김동리 초기소설의 재고찰 -〈무녀도〉와〈황토기〉의 설화성을 중심으로 -
-
한명환;
순천향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1997,
pp.171-209)
-
860
-
문학 작품에 나타난 무굿의 치료적 성격 - 김동리의 「을화」, 이윤택의 『오구, 죽음의 형식』을 중심으로
-
김윤희;
경희대학교;
(문학과 종교,
v.16,
2011,
pp.23-4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