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3건 중 103건 출력
, 9/11 페이지
-
81
-
순례와 일본인: 구마노고도(熊野古道)를 중심으로
-
박규태;
한양대학교;
(일본비평,
v.0,
2018,
pp.100-125)
-
82
-
建构主义视野下对中国高校舞蹈专业慕课建设策略探究
-
진오림;
김설화;
中国山东管理学院 艺术学院;
가천대학교;
(인문사회 21,
v.13,
2022,
pp.1637-1650)
-
83
-
고대 일본 庭園의 관리와 그 官司에 관한 연구
-
김은정;
충남대학교;
(역사와 담론,
v.0,
2016,
pp.69-97)
-
84
-
공민왕 즉위초 정국의 동향과 전민변정
-
신은제;
동아대학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0,
pp.371-400)
-
85
-
장애 양상과 근대성을 통해 본 일본근대문학연구 - 아리시마 다케오 문학을 중심으로-
-
신인섭;
건국대학교;
(日本語文學,
v.1,
2009,
pp.465-482)
-
86
-
日本における中国語の疑問代名詞「甚麼・什麼」について
-
나공수;
영남대학교;
(일본근대학연구,
v.0,
2008,
pp.5-35)
-
87
-
パトロンとしての藤原道長 ―『紫式部日記』を主軸にして―
-
정순분;
배재대학교;
(日本文化學報,
v.0,
2011,
pp.147-164)
-
88
-
李白 樂府詩 譯解(1) ― 악부 권2의 제6수에서 제11수까지
-
김의정;
성결대학교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21,
pp.139-162)
-
89.
- 일본 메이지 시대의 햐쿠모노가타리(百物語) 괴담집 연구
- 최가진
-
전남대학교, 국내박사,
vii, 203 p., 2017
-
90
-
姜龍夏의 尊華意識과 「華山十二曲」
-
이상주;
중원대학교;
(南冥學硏究,
v.0,
2018,
pp.207-24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