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04건 중 104건 출력
, 9/11 페이지
-
81
-
만주국 극영화의 제상(諸相)- 만주영화협회의 제작 방향 변화를 중심으로
-
강태웅;
광운대학교 일본학과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7,
pp.91-113)
-
82
-
⟨書 評⟩한상일한정선,『일본, 만화로 제국을 그리다 -조선 병탄과 시선의 정치-』(一潮閣, 2006)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06,
pp.245-250)
-
83
-
국가, 전쟁 그리고 ‘일본영화’-진주만 폭격 1주년 기념영화를 중심으로-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07,
pp.109-129)
-
84
-
항일(抗日)과 향수(鄕愁)의 길항― 타이완 영화는 식민지 시대를 어떻게 그리고 있나 ―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학보,
v.0,
2017,
pp.181-194)
-
85
-
일본 대중문화 속의 인구감소와 고령화 사회 이미지가 갖는 패러독스: 영화 ⟨플랜 75(PLAN 75)⟩를 중심으로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연구논총,
v.0,
2024,
pp.87-106)
-
86
-
국민우생법(国民優生法) 심의 과정에서 드러난 제국일본의 ‘위기’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日本學(일본학),
v.58,
2022,
pp.37-59)
-
87
-
전전 일본의 한센병 환자 격리정책과 국책영화 ⟨작은 섬의 봄(小島の春)⟩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역사연구,
v.0,
2021,
pp.181-210)
-
88
-
표상으로서의 滿映
-
강태웅;
광운대학교 일본학과;
(만주연구,
v.0,
2006,
pp.37-50)
-
89
-
우키요에 붐과 21세기 자포니슴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일본비평,
v.0,
2019,
pp.78-99)
-
90
-
총력전(總⼒戰) 시대의 오즈 야스지로(⼩津安⼆郎) ⟨아버지가 있었다(父ありき)⟩를 둘러싼 논란을 중심으로
-
강태웅;
광운대학교;
(씨네포럼,
v.0,
2024,
pp.9-4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