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4건 중 134건 출력
, 9/14 페이지
-
81
-
연암 일파(燕巖一派)의 회화론 화조화를 중심으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02,
pp.185-212)
-
82
-
조선후기 점술서적에 나타나는 가족이미지 - 『귀곡사주경』을 중심으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15,
pp.61-82)
-
83
-
‘문자향’ ‘서권기’, 그 함의와 형상화 문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연구,
v.237,
2003,
pp.1-1)
-
84
-
조선후기 회화와 타자성 鄭敾의 산수화 제작과 그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미술사학보,
v.0,
2002,
pp.23-46)
-
85
-
司馬光에 대한 視覺的 기억의 전개와 의미
-
고연희;
서울대학교 규장각;
(동양고전연구,
v.0,
2015,
pp.255-281)
-
86
-
동아시아 회화의 복제와 파생에 대한 일고찰 ― 휘종의 매 그림 유행을 중심으로
-
고연희;
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3,
pp.131-162)
-
87
-
18세기 회화(繪畵)의 정원이미지 고찰 -‘괴석(怪石)’을 중심으로-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인문학연구,
v.0,
2013,
pp.5-35)
-
88
-
王이 그린 蘭・竹의 의미와 기능 ―壬亂以前을 대상으로
-
고연희;
이화여자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11,
pp.237-266)
-
89
-
‘어약용문(魚躍龍門)’에서 ‘어변성룡(魚變成龍)’으로 - ‘급제(及第)’에서 ‘충(忠)’으로 -
-
고연희;
서울대학교 규장각;
(한국문화연구,
v.31,
2016,
pp.51-83)
-
90
-
‘비파행도(琵琶行圖)’ 속 기녀(妓女)의 시각화
-
고연희;
규장각한국학연구원;
(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,
v.0,
2016,
pp.37-6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