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,325건 중 1,000건 출력
, 9/100 페이지
-
81
-
한국고전시가에 끼친 굴원의 영향
-
범선균;
;
(中語 中文學,
v.10,
1988,
pp.215-255)
-
82
-
고전시가와 중국 인식의 시대별 추이
-
최재남;
이화여자대학교;
(고전문학연구,
v.0,
2013,
pp.33-62)
-
83.
-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고전시가 교육방안 연구 : 국정 및 검정 16종 국어교과서를 중심으로
- 이정은
-
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iii, 100 p., 2013
-
84
-
고전시가 쓰기 교육 연구 -배경 설화를 지닌 실전(失傳) 고전시가의 재구(再構)를 중심으로-
-
조희정;
한성대학교;
(고전문학과 교육,
v.0,
2009,
pp.109-150)
-
85
-
다문화적 관점에서의 고전시가 교육 - 김충선의 <모하당슐회述懷>를 중심으로
-
Sunchul Paik,;
;
(한국어문교육 : 고려대학교 국어교육학회,
v.28,
2019,
pp.81-104)
-
86
-
북한 고전시가관의 변모와 현대적 수용양상
-
김문태;
상명대학교;
(한국시가연구,
v.0,
2006,
pp.355-389)
-
87.
- 고전시가 WBI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: 어부사시사와 관동별곡을 중심으로
- 권영선
-
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ⅴ, 100 p., 2004
-
88.
- 2015 교육과정 국어 교과서의 고전시가 작품 수용 양상과 문제점
- 하우림
-
부산대학교, 국내석사,
iv, 47장, 2019
-
89.
- 문학 현장 답사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연구 : <도산십이곡>과 <어부가>를 중심으로
- 이지안
-
서울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vi, 136 p., 2020
-
90
-
The Direction of Classical Poetry Education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
-
Kim, Sangjean;
;
(語文論集 = The journal of language & literature,
v.88,
2021,
pp.167-19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