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1건 중 131건 출력
, 9/14 페이지
-
81
-
한시의 번역 혹은 고전으로의 피란(避亂) - 김억의 『동심초』(1943)와 『꽃다발』(1944)을 중심으로 -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15,
pp.67-98)
-
82
-
시, 혹은 조선시란 무엇인가-김억의 「작시법(1925)」에 대하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2,
pp.297-316)
-
83
-
구연(口演)의 극화(劇化), 낯선 장르의 (불)가능성 - 유성기음반 소재 영화극에 대하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상허학보,
v.43,
2015,
pp.393-425)
-
84
-
국토순례와 민족의 자기구성 - 근대 국토기행문의 문학사적 의의 -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4,
pp.128-152)
-
85
-
근대기 멜로드라마 서사 형성의 한 장면-영화와 영화설명 ⟨동도(東道)⟩를 중심으로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민족문화,
v.0,
2013,
pp.3-31)
-
86
-
金億의 格調詩形論에 對하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5,
pp.263-294)
-
87
-
蕩子의 歸鄕과 朝鮮의 發見-1920년대 韓國近代詩와 故鄕의 발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6,
pp.111-140)
-
88
-
근대기 시인의 현실과 유행가요 창작의 의미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12,
pp.218-245)
-
89
-
고안된 전통, 민족의 공통감각론 - 김억의 민요시론 연구
-
구인모;
연세대학교;
(한국문학연구,
v.0,
2000,
pp.291-306)
-
90
-
홍사용과 구술문화 전통의 의미
-
구인모;
동국대학교;
(동악어문학,
v.0,
2011,
pp.133-163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