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41건 중 141건 출력
, 9/15 페이지
-
81
-
궁중 정재(宮中呈才)의 공연공간과 연출원리
-
사진실;
;
(韓國音樂硏究,
v.38,
2005,
pp.75-101)
-
82
-
고전 시문에 나타난 한식(韓食)의 의미와 양상 – 냉면(冷麪)을 중심으로 –
-
하경숙;
선문대학교;
(동양문화연구,
v.27,
2017,
pp.89-108)
-
83.
- 조선시대 중기의 수산물 이용에 관한 문헌고찰 : 飮食知味方, 增補山林經濟, 閨閤叢書를 중심으로
- 현윤옥
-
공주대학교, 국내석사,
v, 50장, 2008
-
84
-
16~17세기 안동문화권 음식조리서의 등장 배경과 역사적 의의-『수운잡방』과 『음식디미방』의 사례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남도민속연구,
v.0,
2014,
pp.135-175)
-
85
-
조선조 外宴의 성악정재, 歌者
-
신경숙;
한성대학교;
(시조학논총,
v.0,
2005,
pp.189-212)
-
86
-
조선조 외연(外宴)의 성악정계, '가자(歌者)'
-
신경숙;
한성대;
(時調學論叢 = The Korean essays on Sijo literary science,
v.23,
2005,
pp.189-212)
-
87
-
조선시대 후기 궁중 행사도의 의궤(儀軌) 도식(圖式)과 도병(圖屛)에서 찾아 본 전통 꽃꽂이 양식
-
한상숙;
이부영;
서울시립대학교, 한국전통꽃문화연구회;
서울시립대학교 환경원예학과;
(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=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& design,
v.41,
2019,
pp.61-92)
-
88
-
무등산 불교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방안
-
최원종;
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;
(호남학,
v.0,
2022,
pp.157-186)
-
89.
- 전통음식 구절판의 역학적 의미 연구
- 이순희
-
공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66p, 2019
-
90.
- 나주 남파고택 소고기 음식문화의 특징 및 유용화 연구
- 김홍렬
-
청주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24 p., 2022