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962건 중 962건 출력
, 9/97 페이지
-
81
-
고백체 문학과 여성주체-김명순(金明淳)을 중심으로-
-
이태숙;
동의대학교;
(우리말글,
v.26,
2002,
pp.309-330)
-
82
-
Love of Toshiko Tamura and Myeongsoon Kim, Modern Women’s Literary artist in Korea and Japan
-
Kuean, Sunyoung;
;
(日本學硏究 = Japanese studies,
v.54,
2018,
pp.391-409)
-
83
-
Kim Myeong-soon’s Translation and Feminism: When You Look Back and Lonely People
-
Yoon, Sun Kyoung;
;
(比較文學 = Comparative Literature,
v.93,
2024,
pp.83-108)
-
84
-
최초의 여성 극작가김명순의 희곡 연구 - 헤테로토피아적 공간의 창조와 주체형성을 중심으로
-
유진월;
한서대학교;
(人文學硏究,
v.26,
2016,
pp.69-98)
-
85
-
김명순의 소설과 ‘외로운 사람들’ 모티프 연구
-
송명희;
부경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6,
pp.89-122)
-
86
-
소문으로 구성된 김명순의 삶과 문학
-
최명표;
전북대학교;
(현대문학이론연구,
v.0,
2007,
pp.221-245)
-
87
-
근대 최초의 여성작가 김명순의 자아 정체성
-
김경애;
동덕여자대학교;
(한국사상사학,
v.0,
2011,
pp.251-302)
-
88
-
김명순과 펑위안쥔(馮沅君)의 낭만적 연애론과 대상 남성 형상화 비교연구 — 김명순의 <돌아다볼 때>와 펑위안쥔의 <단절>, <단절 이후>, <여행>을 중심으로
-
고호월;
경희대학교 국어국문학과;
(중국어문논총,
v.0,
2021,
pp.327-353)
-
89
-
1920년대 한중 여성 극작가의 자기 서사 무대 재현 방식 연구 - 김명순과 바이웨이(白薇) 희곡을 중심으로 -
-
정병혜;
고려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24,
pp.113-149)
-
90
-
일본 사소설과 한국의 자전적 소설의 비교
-
방민호;
;
(한국현대문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,
v.31,
2010,
pp.35-8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