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365건 중 365건 출력
, 9/37 페이지
-
81.
- 장르별 영어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 수업이 영어 의사소통 역량 함양에 미치는 효과
- 임보라
-
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, 국내박사,
329, 2024
-
82
-
그림책과 연계한 유아 로봇놀이 경험과 의미
-
안지수;
남기원;
중앙대학교 유아교육학과;
중앙대학교 유아교육과;
(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: JCCT = 문화기술의 융합,
v.9,
2023,
pp.311-317)
-
83
-
그림책 이야기를 활용한 창작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탐색
-
양승희;
임명희;
서일대학;
동남보건대학교;
(한국보육학회지,
v.11,
2011,
pp.19-39)
-
84
-
죽음 교육 자료로서의 그림책에 대한 기독교적 고찰
-
이란;
현은자;
성균관대학교;
성균관대학교;
(신앙과 학문,
v.19,
2014,
pp.135-167)
-
85
-
바슐라르의 여가 작용을 활용한 시 그림책 감상 교육 방안 연구: 『백 살이 되면』의 이미지 분석을 중심으로
-
정예은;
한국교원대학교;
(독서연구,
v.0,
2025,
pp.147-172)
-
86
-
이야기 꾸미기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상상력 수준, 문장 수와 창의적 인성간의 관계
-
서미옥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8,
2003,
pp.117-136)
-
87
-
바바라 리만의 그림책에 나타난환상 구현 방식 연구
-
김상한;
북대구초등학교;
(청람어문교육,
v.0,
2014,
pp.235-263)
-
88
-
그림책에서의 심미적 요소 탐색- 2005’ 칼데콧 영예상 수상도서 “Knuffle Bunny”를 중심으로 -
-
임부연;
박향원;
부산대학교;
부산대학교;
(유아교육연구,
v.28,
2008,
pp.35-59)
-
89
-
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본 Anthony Browne의 어린이 그림책 특징 연구
-
노영희;
;
(열린유아교육연구 =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,
v.15,
2010,
pp.273-299)
-
90
-
드라마 활동이 이야기 구성 능력에 미치는 영향-글없는 그림책 활용을 중심으로-
-
정희진;
성석초등학교;
(교육연극학,
v.9,
2017,
pp.47-68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