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424건 중 424건 출력
, 9/43 페이지
-
81
-
고성 문암리유적을 통해 본 신석기시대 평저토기문화의 전개
-
김은영;
동경대학대학원 고고학연구실;
(문화재,
v.0,
2007,
pp.169-205)
-
82.
- CFD를 이용한 벤투리유량계 압력 탭 막힘에 따른 유량측정 변화 연구
- 김명훈
-
忠南大學校 大學院, 국내석사,
77 p., 2018
-
83
-
활성탄과 정어리유의 급여가 계육의 VBN, TBARS 및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
-
김영직;
박창일;
대구대학교 생명자원학부;
대구대학교 생명자원학부;
(Korean journal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= 한국축산식품학회지,
v.22,
2002,
pp.37-43)
-
84
-
진양 우수리유적 채집 토기에 대한 고찰
-
박승규;
;
(고문화,
v.0,
1991,
pp.3-21)
-
85
-
정어리유 섭취시 지질과산화 억제를 위한 몇가지 산화방지제의 효과
-
이효상;
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;
(韓國營養學會誌 =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.,
v.22,
1989,
pp.466-475)
-
86.
- 부여 송국리유적 주거지 복원에 관한 연구
- 김민구
-
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화유산전문대학원, 국내석사,
89, 2025
-
87
-
소외의 공간, 방리유와 무슬림이주민의 통합
-
김 숙경;
부산대학교;
(로컬리티 인문학,
v.0,
2019,
pp.119-150)
-
88
-
이런과학자, 저런기술자 - 대만의 양심 노벨화학상 수상자 '리유안체'
-
현원복;
과학저널리스트;
(과학과 기술 = The science & technology,
v.33,
2000,
pp.28-29)
-
89
-
강화 신봉리유적 석기의 석재 산지와 의미
-
황창한;
울산문화재연구원;
(고고광장,
v.0,
2014,
pp.45-63)
-
90
-
영동 법화리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: 토광묘 6호 및 8호
-
정광용;
강형태;
고민정;
김화정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국립중앙박물관;
국립부여박물관;
중원문화재연구원;
(보존과학회지 =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,
v.27,
2011,
pp.243-250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