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07건 중 207건 출력
, 9/21 페이지
-
81
-
식민지 근대와 '취미' 개념의 형성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개념과 소통,
v.0,
2011,
pp.35-71)
-
82
-
1920-30년대 대중문화와 ⟨신여성⟩ ― 활동사진과 유행가를 중심으로 ―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여성문학연구,
v.0,
2004,
pp.303-338)
-
83
-
‘국민의 배우자’를 벗어난 여성들: 한족 결혼 이주 여성들의 결혼과 이혼 사례를 중심으로
-
문경연;
서울대학교;
(한국문화인류학,
v.44,
2011,
pp.71-112)
-
84
-
한국 근대연극 형성과정의 풍속통제와 오락담론 고찰 -근대초기 공공오락기관으로서의 ‘극장’을 중심으로-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09,
pp.343-368)
-
85
-
대북지원의 인간안보적 재해석
-
문경연;
연세대학교;
(북한연구학회보,
v.16,
2012,
pp.295-328)
-
86
-
해방기 역사극의 새로운 징후들 - 3․1절 기념 연극대회 참가작과 ‘과정으로서의 역사쓰기’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드라마 연구,
v.0,
2011,
pp.125-163)
-
87
-
1940년대 국민연극과 친일협력의 논리 -유치진을 중심으로-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드라마 연구,
v.0,
2008,
pp.47-82)
-
88
-
재일 한국인 극작가 정의신의 낯선 역사 재현 - ⟨야끼니꾸 드래곤⟩을 중심으로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2,
pp.207-242)
-
89
-
월북예술인 김태진과 발굴희곡 ⟨임진왜란⟩(1946) 고찰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한국극예술연구,
v.0,
2013,
pp.11-50)
-
90
-
1930년대 말 ⟨신협(新協)⟩의 『춘향전』공연 관련 좌담회 연구
-
문경연;
경희대학교;
(우리어문연구,
v.0,
2010,
pp.471-50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