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33건 중 133건 출력
, 9/14 페이지
-
81
-
대한제국기 민사재판에서 관습의 규범적 역할 - 전통 사송의 성격과 관습법에 관한 논쟁에 붙여 -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학논고,
v.0,
2015,
pp.161-194)
-
82
-
근대 초 한국에서의 권리, 법, 정치 ― 번역어 ‘권리’의 수용과정 연구 ―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강원법학,
v.37,
2012,
pp.163-214)
-
83
-
대한제국기 민사판결에서 법문 인용의 맥락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사학연구,
v.0,
2016,
pp.125-163)
-
84
-
법학전문대학원 체제하의 법제사 교육의 가치와 역할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사학연구,
v.0,
2011,
pp.007-041)
-
85
-
검사의 법적 성격과 조직방식에 관한 논의의 비판적 고찰-검사의 준사법기관성과 검사동일체원칙을 중심으로-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민주법학,
v.0,
2004,
pp.159-195)
-
86
-
해방공간, 사법민주화논의의 전개와 좌절: 배심제와 고위법관선출제를 중심으로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민주법학,
v.21,
2002,
pp.5-172)
-
87
-
미군정기 법원조직법의 입법과정: 미국립문서관 법원조직법관계문서철의 소개와 분석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사학연구,
v.0,
2005,
pp.235-305)
-
88
-
제국일본의 식민지형 사법제도의 형성과 확산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사학연구,
v.0,
2004,
pp.189-229)
-
89
-
《刑法草》(天)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사학연구,
v.0,
1998,
pp.181-185)
-
90
-
자료: 刑法大全 關聯 資料 紹介
-
문준영;
부산대학교;
(법사학연구,
v.0,
1997,
pp.209-219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