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16건 중 216건 출력
, 9/22 페이지
-
81
-
강간사건의 사실인정에 대한 양형인자와 편향요인의 효과: 피해자나이와 판단자성별
-
이다니;
박광배;
;
(한국심리학회지: 법,
v.8,
2017,
pp.213-228)
-
82
-
반박증거의 제시시점에 따른 배심원의 판단 변화
-
표지민;
박광배;
John Jay College of Criminal Justice;
Chungbuk National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30,
2016,
pp.77-94)
-
83
-
유일한 증거와 일반인의 법적 판단
-
한유화;
박광배;
;
(한국심리학회지: 법,
v.7,
2016,
pp.1-14)
-
84
-
한국청소년의 집단주의적 가치체계 - 가족관을 중심으로 -
-
박광배;
김미숙;
Department of Psychology, Choongbuk National University;
Department of Psychology, Choongbuk National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6,
1992,
pp.62-75)
-
85
-
Main Issues in Korea Regarding Consent for the Processing of Personal Information, with Emphasis on Recent Supreme Court Cases
-
박광배;
채성희;
장재영;
법무법인 광장;
법무법인 광장;
법무법인 광장;
(Journal of Korean Law,
v.17,
2017,
pp.53-77)
-
86
-
탈세에 대한 형평성 효과
-
류윤상;
박광배;
김유진;
Chungbuk National University;
Chungbuk National University;
Chungbuk National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10,
1996,
pp.23-33)
-
87
-
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 행위에 미치는 영향
-
신민섭;
박광배;
오경자;
Yonsei University;
Choongbuk University;
Yonsei University;
(,
v.10,
1991,
pp.286-297)
-
88
-
반응양식이 P300 숨긴정보검사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
-
전하정;
손진훈;
박광배;
엄진섭;
;
(감성과학,
v.20,
2017,
pp.109-118)
-
89
-
형사배심 평의에서의 사회적 동조와 인지적 전향:한국 최초의 시민배심 모의재판의 평의에 대한 내용분석
-
박광배;
김상준;
이은로;
서혜선;
;
(한국심리학회지: 사회 및 성격,
v.19,
2005,
pp.1-21)
-
90
-
외로움−이차공통요인 척도의 성별집단 간, 연령집단 간 측정불변성
-
박광배;
이다니;
엄진섭;
정안숙;
Department of Psychology, Chungbuk National University;
School of Criminal Justice, University of Cincinnati;
Department of Psychology, Chungbuk National University;
Department of Psychology, DePaul University;
(한국심리학회지: 일반,
v.43,
2024,
pp.129-14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