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69건 중 169건 출력
, 9/17 페이지
-
81
-
종가의 사당을 통해본 조상관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39,
2004,
pp.117-154)
-
82
-
물질문화의 개념 수정과 연구 전망-민속학의 영역과 방법 확장을 생각하며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한국민속학,
v.46,
2007,
pp.233-264)
-
83
-
기경용 농기계 도입후 전통농법의 지속과 변화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2,
2003,
pp.147-166)
-
84
-
화전농업의 기술과 전승지식의 의의-20세기 경북 영양군 수하리의 사례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3,
pp.59-91)
-
85
-
아시아 의식주생활의 비교연구를 위한 모색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7,
pp.9-31)
-
86
-
미국 민속학에서 물질문화에 대한 인식과 연구-미국 최초 민속학박사 Warren E. Roberts의 연구를 중심으로-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14,
pp.133-172)
-
87
-
집들이[入宅] 풍속의 전통과 변화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6,
pp.91-123)
-
88
-
안동지역 간고등어의 소비전통과 문화상품화 과정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6,
pp.95-128)
-
89
-
경제현상으로서 근대 이행기의 의생활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비교민속학,
v.0,
2004,
pp.363-402)
-
90
-
조선후기 농 작업 두레의 문화 복합적 성격
-
배영동;
안동대학교;
(농업사연구,
v.4,
2005,
pp.47-6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