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8건 중 158건 출력
, 9/16 페이지
-
81.
- 신경림 시 연구 : 시 창작 방법론을 중심으로
- 양문규
-
명지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89p., 1999
-
82
-
安平大君 李瑢의 文藝活動과 書藝
-
이완우;
;
(美術史學硏究 = Korean journal of art history,
v.246,
2005,
pp.73-115)
-
83
-
재일동포 강순 시 연구
-
윤의섭;
숭실대학교;
(한중인문학연구,
v.0,
2005,
pp.433-460)
-
84
-
新羅詩人崔致遠的家國意識
-
蕭麗華;
국립대만대;
(민족문화연구,
v.0,
2013,
pp.5-21)
-
85
-
한국 근대 시문학 장르에 대한 검열의 수행 원리와 변동(1919~1935)
-
박지영;
성균관대학교;
(대동문화연구,
v.0,
2024,
pp.245-277)
-
86.
- 朝鮮後期 詩調의 展開과 變貌樣相 : 歌客의 活動을 中心으로
- 송병상
-
전주우석대학교 대학원, 국내박사,
200p., 1995
-
87
-
식민과 해방; 두 ‘탑’ 사이의 거리 -발굴 작품을 중심으로 본 오장환의 해방기 시-
-
장만호;
고려대학교;
(어문논집,
v.0,
2011,
pp.265-298)
-
88
-
월북시인 박산운 시 연구 - 시집 『내가 사는 나라』를 중심으로
-
이승이;
목원대학교;
(어문연구,
v.85,
2015,
pp.317-340)
-
89
-
한국 한문학 연구에 대한 해외로부터의 학적 요구
-
심경호;
고려대학교;
(한문학논집(漢文學論集),
v.47,
2017,
pp.9-48)
-
90
-
1960년대 여성문학 장의 발족과청미 문학 동인
-
홍현영;
성균관대학교;
(상허학보,
v.72,
2024,
pp.381-416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