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18건 중 118건 출력
, 9/12 페이지
-
81
-
『退溪年譜』 편찬의 역사적 배경과 그 의미
-
최혜미;
전통문화연구회;
(고전과 해석,
v.38,
2022,
pp.341-372)
-
82.
- 韓國の大都市大邱の都市形成過程に關する硏究
- 예명해
-
神戶大學, 국외박사,
142 p., 1996
-
83
-
이순신의 정읍현감 시절 : 그 행적과 생애사적 함의
-
김강녕;
조화정치연구원;
(한국과 세계,
v.5,
2023,
pp.87-118)
-
84
-
『기효신서(紀效新書)』 도입 직후의 새로운 성제(城制) 모색
-
서치상;
조형래;
부산대학교 건축학부;
창신대학 건축디자인과, 부산대학교;
(大韓建築學會論文集.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. 計劃系,
v.24,
2008,
pp.135-144)
-
85
-
노경식의 희곡 연구
-
한옥근;
;
(韓民族語文學 = Hanminjok Emunhak,
v.47,
2005,
pp.443-488)
-
86
-
白沙 李恒福과 서인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
-
정억기;
;
(慶州 史學 = Kyong-Ju Sa Hak,
v.24,
2006,
pp.313-345)
-
87.
- 이순신 장군의 지도자적 역량과 임진왜란 전쟁수행에 관한 연구
- 정치영
-
목포대학교 대학원, 국내석사,
79 p., 2007
-
88
-
정몽주(鄭夢周) 문집의 증보추이 고찰 -교서관본, 영천초각본, 개성재각본, 속집본 등을 중심으로-
-
안장리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포은학연구,
v.19,
2017,
pp.73-94)
-
89.
- 리모델링 활성화 구역의 유형별 인센티브 운용에 관한 연구 : 서울시 중구를 중심으로
- 문찬정
-
가천대학교 산업·환경대학원, 국내석사,
170, 2015
-
90
-
선산부사-통제사종사관 정경달의 임진왜란에 대한 기록과 기억
-
박균섭;
경북대학교;
(영남학,
v.0,
2021,
pp.61-101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