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600건 중 600건 출력
, 9/60 페이지
-
81
-
유학사상에 근거한 李元翼의 유가적 리더십 재조명 -公道와 私路의 열림과 닫힘의 모순율을 중심으로-
-
엄연석;
한림대학교;
(유교사상문화연구,
v.0,
2015,
pp.33-61)
-
82
-
劉宗周의 新儒學 수용 양상에 관한 고찰-중국 명대 유학사의 한 단면-
-
신현승;
강원대학교;
(동서철학연구,
v.0,
2014,
pp.145-169)
-
83
-
19세기 후반 고창지역 유학사상과 동학농민혁명
-
김봉곤;
;
(역사학연구,
v.0,
2014,
pp.153-196)
-
84
-
Writing the History of Japanese Confucianism in Modern Japan: Inoue Tetsujiro’s Trilogy
-
Lee, Sae Bom;
;
(韓國思想史學,
v.61,
2019,
pp.1-35)
-
85
-
Confucian Thoughts and Archery Culture - Focused on the Joseon Dynasty
-
Wurong;
Yang, Dongfang;
Kim, Jin-Hun;
YI, Ho-Kun;
;
(스포츠인류학연구 =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port anthropology,
v.19,
2024,
pp.19-31)
-
86
-
Why Fukuzawa Yukichi criticised Confucianism - Suggesting a Starting point for Reevaluating the History of East Asian Confucianism -
-
Kang, Ji-eun;
;
(역사와 현실,
v.117,
2020,
pp.439-483)
-
87
-
"時中之道"와 유학사상의 보완
-
양재혁;
성균관대학교;
(동양철학연구,
v.0,
2004,
pp.415-436)
-
88
-
한국유학사에서의 金宏弼의 위상
-
최영성;
한국전통문화대학교;
(한국철학논집,
v.0,
2014,
pp.9-38)
-
89
-
유학사상에 나타난 호남 정신의 정립 방향
-
오종일;
전주대학교;
(孔子學,
v.0,
2005,
pp.307-324)
-
90
-
19세기 조선 유학사 정리 작업에 대한 연구 - 宋秉璿의 성찰적 조선유학사 정리 작업을 중심으로 -
-
정성희;
성균관대학교;
(유학연구,
v.28,
2013,
pp.137-164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