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79건 중 179건 출력
, 9/18 페이지
-
81
-
윤흥길의 『장마』에 나타난 - 이데올로기의 해체방식
-
김동현;
강원대학교;
(우리문학연구,
v.0,
2008,
pp.199-222)
-
82
-
중층적 현실 인식을 위한 소설 감상 교육 - 윤흥길의 「장마」를 중심으로
-
고정혜;
;
(새국어교육,
v.0,
2012,
pp.309-344)
-
83
-
윤흥길의 소라단 가는기렝 나타난 일상어의 특징
-
이태영;
전북대학교;
(국어국문학,
v.0,
2006,
pp.31-54)
-
84
-
1970년대 나카가미 겐지와 윤흥길의 문학 교류 −‘공간 침입자 되기’의 「곶」과 ‘환대로 맞이하기’의「장마」−
-
박진향;
제주대학교;
(일어일문학,
v.0,
2023,
pp.122-144)
-
85
-
불모의 현실과 여성적 화해의 세계 - 윤흥길론
-
김병덕;
중앙대학교;
(비평문학,
v.0,
2011,
pp.35-59)
-
86
-
윤흥길 『종탑 아래에서』 어휘의 계량적 분석 연구
-
황혜란;
명지대학교;
(한국언어문학,
v.0,
2020,
pp.185-210)
-
87
-
Nakagami Kenji and Yun Heung-gil’s Literary Exchange : The Beginning of “garden balsams” and “Mother” as Asian Literature
-
Park, JinHyang;
;
(日本文化硏究 = Japanese cultural studies,
v.87,
2023,
pp.129-156)
-
88
-
전후의 시차(時差/視差)➀: 전쟁을 아로새기지 않기 -윤흥길의 전쟁기억소설을 중심으로
-
이영서;
고려대학교;
(이상리뷰,
v.0,
2024,
pp.217-257)
-
89
-
윤흥길의 ≪소라단 가는 길≫에 나타난 탈식민성 연구
-
고인환;
경희대학교;
(현대소설연구,
v.0,
2006,
pp.267-286)
-
90.
- ARCS 모델을 활용한 분단소설 교육 연구 : 윤흥길의 「장마」를 중심으로
- 정해경
-
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, 국내석사,
88 p., 2013