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155건 중 155건 출력
, 9/16 페이지
-
81
-
이진한, 『고려시대 송상왕래 연구』 (서울: 景仁文化社, 2011), 340쪽.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학보,
v.0,
2011,
pp.415-429)
-
82
-
서평 : 고려와 원제국간 관계의 ‘틀’ 및 ‘성격’에 대한 고찰-이개석, 『고려-대원 관계 연구』-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4,
pp.401-420)
-
83
-
13∼14세기 고려관료의 원제국 문산계 수령 -충렬공 金方慶을 포함한 여러 사례들에 대한 검토-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중세사연구,
v.0,
2013,
pp.87-123)
-
84
-
고려후기 외관(外官)의 신설‧승격 및 권위제고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사연구,
v.0,
2015,
pp.29-100)
-
85
-
고려 공민왕대 정부 주도 교역의 여건 및 특징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34,
2011,
pp.195-240)
-
86
-
공민왕대 관제개편의 내용 및 의미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학보,
v.0,
2009,
pp.35-85)
-
87
-
고려후기 ‘충렬왕대 문산계(文散階)’의 구조와 운용 - 대부계(大夫階)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-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진단학보,
v.0,
2012,
pp.29-66)
-
88
-
왜구 문제를 통해 본 고려 사람들과 일본인들의 교류의 역사-⟨왜구와 고려․일본 관계사⟩에 대한 서평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한국학,
v.35,
2012,
pp.303-326)
-
89
-
‘인간의 삶’에 대한 다양한 관심, 그리고 무관심: 2011년∼2012년 고려시대사 연구 동향
-
이강한;
한국학중앙연구원;
(역사학보,
v.0,
2013,
pp.23-91)
-
90
-
고려후기 元 屯田의 운영과 변화
-
이강한;
서울대학교;
(역사학보,
v.0,
2007,
pp.1-37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