총 256건 중 256건 출력
, 9/26 페이지
-
81
-
사회주의 중국의 국가권력과 영화의 상관성
-
임대근;
한국외대;
(중국연구,
v.39,
2007,
pp.24-438)
-
82
-
초기 중국영화의 한 면모; 연극영화의 창작
-
임대근;
평택대학교;
(중국연구,
v.30,
2002,
pp.427-437)
-
83
-
‘트랜스 아이덴티티’의 개념과 유형: 캐릭터, 스토리텔링, 담론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외국문학연구,
v.0,
2016,
pp.131-146)
-
84
-
포스트뉴웨이브 시대 중국 영화와 국가 이데올로기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문학연구,
v.0,
2008,
pp.251-272)
-
85
-
가오싱지안(高行健) 영화론* :〈실루엣 혹은 그림자(La Silhouette sinon l’ombre)〉와 〈혼돈 이후(APRES LE DELUGE)〉를 중심으로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현대영화연구,
v.8,
2012,
pp.123-152)
-
86
-
중국 ‘비(非)-한족(漢族)’ 영화 연구를 위한 논의들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문학연구,
v.0,
2011,
pp.197-224)
-
87
-
『상하이 베이비』:텍스트의 확장과 맥락의 재구성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하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8,
pp.297-323)
-
88
-
중국영화교육 추의(芻議)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어중문학,
v.0,
2005,
pp.457-491)
-
89
-
중국 영화학을 둘레 짓기 위한 한 가지 물음― 중국 영화학은 웨인 왕의 영화를 다룰 수 있는가?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현대문학,
v.0,
2005,
pp.1-21)
-
90
-
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중국어 교육 시론
-
임대근;
한국외국어대학교;
(중국문화연구,
v.0,
2010,
pp.49-64)